본문 바로가기

3D 아티스트

유쾌한 완벽주의자와 행복한 이기주의자


오직 나만이 나의 완전성을 이끌어낼 수 있다.
오직 나만이 내 인생의 교향곡을 지휘할 수 있다.
나 자신을 믿어라, 스스로를 독립적인 존재로 확신하라.

'유쾌한 완벽주의자' 중에서

 

나는 학교 생활과 서빙일을 병행했다.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학교 근처 카페나 술집에서 서빙을 했다.

일주일에 3~4일 일을하면 한 달 생활비 정도는 벌 수 있었다.

 

동기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3D 애니메이션 공부와 연습을 하는 모습이 부러웠지만, 서빙 일을 그만둘 수는 없었다.

일을 마치고 학교에 가면 동기들은 나에게 많은 것을 알려주었다.

간단한 간식도 주고, 커피, 껌 등 그들이 내게 베풀 수 있는 것들은 다 줬다.

녹초가 된 기분은 금새 사라지고 3D 애니메이션 연습이 가능했다.

 

몸은 힘들었지만 행복했다.

 

학교, 서빙, 잠의 패턴이 반복되던 어느 날 교수님으로 부터 뜻밖의 제안을 받았다.

돈을 받고 일하는 간단한 3D 작업이었다.

앞 뒤 따지지 않고 무조건 한다고 했다.

하고 싶은 일로 돈을 벌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잘만하면 서빙일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았다.

 

하겠다고 대답하는 순간 난 일이 하나 더 늘었다.

학교, 서빙, 잠, 3주간 3D 단기 프로젝트.

 

3주 동안 잠을 줄여가며 프로젝트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클라이언트가 내 작업물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고, 수정에 수정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3주가 훌쩍 넘은 6주를 향해 가고 있었다.

녹초 같은 생활로 볼품없는 내 얼굴이 안됬는지 동기들은 커피를 무한제공 했다.

악몽 같던 3D 프로젝트가 끝이 났고, 내가 받은 돈은 30만 원이었다.

한 달 생활비에 한참 모자라는 금액이었다.

미안해하던 교수님의 얼굴이 지금도 생생하다.

 

받은 30만 원은 동기들과 술자리에서 썼다.

자신들이 연습으로 얻은 기술들을 아낌없이 알려줬다.

지쳐가는 나를 쓰러지지 않게 지탱해 주었다.

3D 프로젝트의 악몽 같은 기간을 버티고 얻은 30만 원은 내 것이 아닌 동기들의 몫이었다.

 

다시 학교생활과 서빙일을 병행했다.

그러나 나는 달라져 있었다.

지독하게 잠이 많은 내가 잠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마무리했던 한 가지 방법에서 셀 수 없이 많은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다.

손이 빨라졌다.

멘탈이 강해졌다.

3D 관련 이력이 생겼다.

나를 응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동기들과의 끈끈함이 더욱 돈독해졌다.

3D에 자신감이 생겼다.

같은 서빙일을 하면서 보는 시각이 달라졌다.

조명, 분위기, 사물의 재질, 빛의 방향등을 3D에 적용시키기 시작했다.

 

처음으로 스스로가 3D 아티스트라고 생각했다.

 

자기 정직이란 자기 가치를 외부적 조건에 따라 평가할 필요성에서 해방되는 것이자, '언제나 해왔던 방식'에 충실하기보다는 지금 당신이 살고 싶은 방식의 삶에 주목하면서 자신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또한 거울 속의 자기 모습을 정면으로 마주 보며, 오늘 하루 당신이 외부적으로 큰 희생을 기꺼이 감수하며 당신 자신과 다른 모든 이들에게 정직하려는 의지를 꺽지 않음으로써 외부 압력에 굴복해 당신의 실제 모습이 아닌 모습을 취하는 편보다 더 내적 평안을 얻었다고 자부하면서 당신 자신에 대해 흡족함을 느끼는 것이다. 자기 정직에 이르기 위해선 당신의 장점과 단점을 현실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그동안 당신의 내부 신호에 대항해 세워둔 방어물들을 삶에서 제거해 나가는 데 힘써야 한다.

'유쾌한 완벽주의자' 중에서